전체 > 월드뉴스
미쉐린 별, 사실은 돈으로 살 수 있었다…한국도 14억 '투자'

논란의 핵심은 미쉐린 가이드가 각국 관광청으로부터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받고 해당 국가의 안내서를 발간하는 사업 모델에 있다.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들은 물론, 이스라엘과 미국 각 주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국가의 관광청이 자국 관광 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미쉐린 측에 거액을 지불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2016년 서울 편이 처음 출간된 이후 4년에 걸쳐 총 100만 달러(약 14억 원)를 미쉐린 측에 지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CNN은 태국 관광청이 2017년 무려 440만 달러(약 64억 원)를 내고 방콕 편을 발간했으며, 당시 17개의 식당이 별을 획득했다고 보도하며 이러한 유착 관계의 실체를 드러냈다.

이러한 금전적 협력 관계는 미쉐린 가이드가 오랜 세월 쌓아온 '독립성'과 '신뢰성', 그리고 '돈에 매수되지 않는다'는 절대적인 명성에 치명적인 흠집을 내고 있다. 평가의 대상이 되어야 할 국가 기관으로부터 돈을 받고 안내서를 만든다는 사실 자체가 평가의 객관성을 의심하게 만드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덩이팅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경영대학 연구원은 "정부나 여행사 등과 지나치게 협력하면 신뢰도는 물론, 다른 기관이 평가 결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며, 현재의 사업 방식이 미쉐린 브랜드의 가치를 스스로 깎아내리고 있음을 경고했다.
물론 미쉐린 가이드 측은 이러한 의혹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이들은 관광청과의 파트너십이 반드시 별점 부여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파트너들 역시 미쉐린이 제시하는 가치를 신뢰하고 그 독립성을 지켜줘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한국에 40곳, 태국에 17곳의 별점 레스토랑이 탄생한 배경에 수십억 원의 돈이 오갔다는 사실이 드러난 이상, 이러한 해명은 설득력을 잃고 있다. 결국 124년 역사의 미쉐린 가이드는 전통적인 권위를 지키느냐, 아니면 새로운 수익 모델을 통해 몸집을 불리느냐는 중대한 기로에 서게 됐다.
sisastat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男性 발보다 더러운 '거기', 세균지수 확인해보니..충격!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로또용지 찢지마세요. 97%이상이 모르는 비밀! "뒷면 비추면 번호 보인다!?"
- 일자리가 급급하다면? 月3000만원 수익 가능한 이 "자격증" 주목받고 있어..
- 환자와 몰래 뒷돈챙기던 간호사 알고보니.."충격"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부족한 머리숱,"두피문신"으로 채우세요! 글로웰의원 의)96837
- 로또1등' 수동 중복당첨자만 벌써 19명째 나왔다.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남性 "크기, 길이" 10분이면 모든게 커져..화제!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