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헬스/건강
'먹방' 중독은 '신경생물학적 감각' 결함 때문... 장-뇌 소통 경로 최초 발견

그동안 과학자들은 음식의 영양소가 장에 도달했을 때 뇌가 어떻게 신호를 받아 식욕과 갈망을 조절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했다. 이번 연구는 그 미스터리를 풀어내며, 연구진은 이 새로운 경로를 '신경생물학적 감각'이라고 명명했다.
미국 듀크대 의대 연구팀은 실험용 쥐들을 밤새 금식시킨 후, 소량의 '플라젤린'이라는 단백질을 대장에 직접 투여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플라젤린은 박테리아가 헤엄치는 데 사용하는 꼬리 모양의 구조인 편모에서 발견되는 단백질로, 우리가 음식을 섭취하면 일부 장내 박테리아가 이 물질을 분비한다. 흥미롭게도 플라젤린을 투여받은 쥐들은 대조군에 비해 먹는 양이 현저히 감소했다.
이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것이 '톨유사수용체(Toll-like Receptor 5, TLR5)'다. 연구팀이 TLR5가 없는 유전자 변형 생쥐를 대상으로 동일한 실험을 진행했을 때는 식욕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TLR5가 신경족이 플라젤린을 감지하고, 장과 뇌 사이의 주요 소통 경로인 미주신경을 통해 신호를 보내는 데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는 플라젤린이 TLR5를 통해 '이제 그만 먹어'라는 신호를 보내 장이 뇌에 식사를 멈출 때라고 알릴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이 수용체가 없으면 이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TLR5 수용체가 없는 생쥐들은 정상 쥐들과 달리 계속해서 음식을 섭취했고, 결과적으로 체중이 증가했다. 이는 이 신경생물학적 경로가 식욕 조절과 체중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다.
이번 발견은 비만, 당뇨병, 식이장애 등 식욕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장내 미생물과 뇌 사이의 직접적인 소통 경로가 확인됨에 따라, 장내 미생물 조성을 조절하거나 TLR5 수용체를 타겟으로 하는 약물 개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인체의 새로운 감각 시스템 발견은 우리 몸이 외부 환경 및 내부 상태를 감지하고 반응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중요한 과학적 진전이다. 이제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에 이어 '신경생물학적 감각'이라는 여섯 번째 감각의 존재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셈이다.
sisastat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男性 발보다 더러운 '거기', 세균지수 확인해보니..충격!
- 도박빚 10억 여배우K양 '이것'후 돈벼락 맞아..
- 마을버스에 37억 두고 내린 노인 정체 알고보니..!
- 서울 전매제한 없는 부동산 나왔다!
- 주름없는 83세 할머니 "피부과 가지마라"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빠진 치아" 더 이상 방치하지 마세요!!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부족한 머리숱,"두피문신"으로 채우세요! 글로웰의원 의)96837
- 비x아그라 30배! 60대男도 3번이상 불끈불끈!
- 로또1등' 수동 중복당첨자만 벌써 19명째 나왔다.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