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월드뉴스
애니메이션 속 3초 장면이 '1조 원 시장' 만들었다... '김밥 한입 챌린지' 2200만 뷰 폭발

특히 주목할 점은 영화 속 단 몇 초 등장한 '한국 김밥' 장면이 전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는 사실이다. 영화 속 주인공 루미가 김밥 한 줄을 통째로 베어 무는 장면은 해외 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고, 이를 따라 하는 '김밥 한입에 먹기 챌린지'가 SNS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틱톡에서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루미의 김밥"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44만2000회의 조회 수와 1만1000개의 '좋아요'를 기록했으며, 인스타그램에서는 '#gimbap' 해시태그가 18만 건 이상 등록됐다. 틱톡에서도 관련 영상이 1만7000건을 넘어서며 김밥이 글로벌 밈(meme)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 해외 이용자가 직접 김밥을 만드는 영상은 무려 2200만 회가 넘는 조회 수를 기록했으며, "김밥에 중독됐다", "나도 먹고 싶다", "레시피 좀 알려 달라", "한국 음식 사랑한다" 등의 영어 댓글이 쏟아지고 있다.
사실 김밥에 대한 세계적 관심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3년에는 미국 식료품점 '트레이더조스'에 출시된 냉동 김밥이 출시 몇 주 만에 품절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당시 한국계 미국인 인플루언서 세라 안의 냉동 김밥 시식 영상은 틱톡에서 1400만 회 이상 조회되며 김밥 열풍에 불을 지폈다.
이러한 관심은 실제 수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냉동 김밥과 즉석밥 같은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38.4% 증가한 4400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미국에서의 쌀 가공식품 수출액 증가율이 51.0%로 가장 높았다.

김밥의 핵심 재료인 김 역시 글로벌 수요에 힘입어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2023년 한국 김 수출액은 역대 두 번째로 1조 원을 돌파했으며, 수출 대상국도 2010년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어난 122개국에 달한다. 전 세계 김 시장에서 한국은 약 70% 이상의 점유율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김밥의 세계적 인기 배경에는 음식 자체의 매력뿐 아니라 한국 콘텐츠 산업과의 시너지 효과가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3월 워싱턴포스트(WP)는 '편안한 음식인 한국의 김밥은 어떻게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켰나'라는 기사에서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인기와 맞물려 주인공의 아침 식사였던 김밥이 세계인의 이목을 끌게 됐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김밥의 건강식품 이미지, 간편성, 다양한 재료 조합의 자유로움, 적절한 포만감 등이 글로벌 소비자들의 기호와 잘 맞아떨어졌다고 분석한다. 이제 김밥을 'K-푸드'의 대표 브랜드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적 홍보와 체계적인 글로벌 마케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sisastat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로또 972회 번호 6자리 몽땅 공개, "오늘만" 무료니까 꼭 오늘 확인하세요.
- 백만원 있다면 당장 "이종목" 사라! 최소 1000배 이상 증가...충격!!
- 빚더미에 삶을 포가히려던 50대 남성, 이것으로 인생역전
- 서울 전매제한 없는 부동산 나왔다!
- 현재 국내 주식시장 "이것"최고치 경신...당장 매수해라!!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개그맨 이봉원, 사업실패로 "빛10억" 결국…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