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헬스/건강

다이어트의 끝판왕 등장! 격일 단식으로 살도 건강도 잡아라

 수많은 다이어트 방법이 범람하는 시대, 진정으로 효과적이고 건강에 이로운 길을 찾는 여정은 늘 현재진행형이다. 최근 발표된 대규모 연구 결과는 이러한 고민에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며, '격일 단식(Alternate-Day Fasting)'이 기존의 간헐적 단식이나 칼로리 제한 다이어트를 뛰어넘는 강력한 대안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단순히 덜 먹는 것을 넘어, '어떻게 먹고 쉬느냐'에 주목해야 할 때이다.

 

이번 연구는 미국과 캐나다를 비롯한 국제 연구팀이 무려 99건의 무작위 임상시험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결과로, 6,582명의 성인 참가자(평균 연령 45세, 여성 66%)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주목할 점은 참가자들의 평균 체질량 지수(BMI)가 31로 대부분 비만 상태였으며, 상당수가 당뇨병, 대사증후군, 지방간 등 만성 질환을 앓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격일 단식이 단순히 체중 감량을 넘어, 전반적인 대사 건강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그렇다면 격일 단식이란 무엇일까? 이는 하루는 500칼로리 미만으로 섭취하거나 아예 금식하고, 다음 날은 평소처럼 자유롭게 식사하는 방식이다. 이는 특정 시간대에만 식사를 허용하는 '시간 제한 다이어트'(예: 16:8 단식)나 일주일에 1~2일만 금식하는 '종일 단식'과는 차별화된다. 기존의 칼로리 제한 다이어트가 매일 꾸준히 섭취량을 줄이는 방식이라면, 격일 단식은 '단식일'과 '자유식일'을 번갈아 가며 신체에 새로운 리듬을 부여하는 것이 핵심이다. 

 

연구 결과는 격일 단식의 압도적인 효과를 입증했다. 체중 감량에 있어 격일 단식은 다른 어떤 간헐적 단식 방법보다 우수했다. 칼로리 제한 다이어트와 비교했을 때 평균 1.29kg, 시간 제한 다이어트보다 1.69kg, 종일 단식보다 1.05kg 더 많은 체중 감량 효과를 보였다. 이는 격일 단식이 상대적으로 더 큰 에너지 결핍을 유발하면서도, '자유식일'을 통해 심리적 부담을 줄여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체중 감량뿐만 아니라 심혈관 건강 지표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격일 단식은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중성지방), 비고밀도 지단백(non-HDL) 수치를 유의미하게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와 직결되는 중요한 결과이다. 흥미롭게도 혈당 수치에서는 다이어트 종류별로 큰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격일 단식이 혈당 조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미치지 않으면서도 다른 건강 지표를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는 '영국의사협회 저널(BMJ)'에 게재되었으며, 'Intermittent fasting strategies and their effects on body weight and other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of randomised clinical trials'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다. 

 

한편 격일 단식은 단순한 체중 감량을 넘어 전반적인 대사 건강을 개선하고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추는 데 효과적인 다이어트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물론 모든 다이어트가 그렇듯, 개인의 건강 상태와 생활 습관을 고려한 전문가와의 상담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지루하고 고통스러운 다이어트가 아닌, 신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스마트한' 식사 전략으로서 격일 단식의 가능성을 활짝 열었다. 이제 우리는 더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위해, 격일 단식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